반응형
오늘은 CocoaPods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CocoaPods는 프로젝트의 종속성 관리자이다. CocoaPods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확장할 수 있다.
python을 해본 사람이라면 pip를 알것이다. CocoaPods도 pip와 같이 라이브러리들을 설치,삭제 하는 등 관련 작업을 수행한다.
CocoaPods를 사용하려면 먼저 설치를 해야 한다.
1. 터미널을 열고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 한다.
sudo get install cocoapods
// brew 이용
brew install cocoapods
brew가 설치되어 있으면 brew를 사용하여 install 하여도 된다.
2. 라이브러리를 적용할 프로젝트 경로로 들어가 준다.
3. 프로젝트 경로에서 아래의 명령어 입력
pod init
명령어를 입력 하고 나면 프로젝트 경로에 Podfile라는 파일이 생성 된다.
4. Podfile를 열어서 편집을 해준다.
open -e Podfile
open 명령어를 활용하여 Podfile파일을 열면 아래와 같은 파일이 열린다.
이제 target과 end 사이에 원하는 라이브러리를 넣어서 설치를 하면 되는데 방식은
pod '라이브러리 이름' 으로 입력 하면 된다.
Alamofire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기 위해 입력한 모습이다. '~> 4.8.2'는 특정 버전을 나타낸다
이렇게 입력 후 저장한 뒤 다시 터미널로 이동하여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라이브러리가 설치 된다.
pod install
설치 완료 후 '프로젝트이름.xcworkspace' 라는 파일이 생성 된다.
아래 글과 같이 현재 켜져 있는 Xcode를 닫고 '프로젝트이름.xcworkspace'의 파일을 켜서 사용 하여야 설치 한 라이브러리가 정상적으로 import 된다.
xcworkspace파일로 프로젝트를 open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Swift & i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ft & iOS] The resource could not be loaded because the App Transport Security policy requires the use of a secure connection. 관련 에러 해결 방법 (0) | 2021.08.12 |
---|---|
[Swift & iOS]performSegue의 sender 인자로 값 전달 (0) | 2021.08.12 |
[Swift & iOS] TabBarController에 연결 된 ViewController 접근 하기 (0) | 2021.08.07 |
[Swift & iOS] Overriding (0) | 2021.07.20 |
[Swift & iOS] String Index 관련 (0) | 2021.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