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삽입 정렬 정리
삽입 정렬(Insertion sort)은 List의 두번째 인덱스 부터 시작하여 Index - 1로 순회하여 정렬 하는 방식이다. 즉 두번째 인덱스와 첫번째 인덱스를 비교,교체하고, 세번째 인덱스와 두번째, 첫번째 인덱스 순으로 비교, 교체를 하게 된다. 시간복잡도는 최선의 경우 O(n) 최악의 경우O(n^2) 예시: [10, 68, 51, 81, 47] 정렬되지 않은 List 먼저 두번째 인덱스를 기준으로 해서 인덱스 - 1로 순회를 한다. 두번째 인덱스 값 68과 인덱스 - 1인 첫번째 인덱스 값 10과 비교, 10이 더 작으니 교체 없이 다음 과정으로 [10, 68, 51, 81, 47] 과정 1 [10, 68, 51, 81, 47] 세번째 인덱스 값 51과 두번째 인덱스 값 68과 비교, 51이 ..
2021. 2. 13.
[알고리즘] 선택 정렬 정리
선택 정렬(Selection Sort)은 주어진 List 맨 앞의 인덱스를 기준값으로 하여 최소값을 찾아 순회하며 비교, 교체를 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을 한번 실행 하면 맨 앞의 인덱스 값을 앞으로 옮겨 순회를 하면서 비교, 교체를 반복하게 된다. 시간복잡도는 O(n^2) 예시: [90,27,22,28,20,18]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가 있다. 선택 정렬을 하여 정렬을 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기준점이 되는 인덱스는 맨 앞의 0번째 인덱스로 하여 순회를 한다. 기준점의 값은 90이고 최소값 18과 자리를 교체 한다. [90, 27, 22, 28, 20, 18] 과정 1 [18, 27, 22, 28, 20, 90] 인덱스에 +1을 하여 1번째 인덱스로 하여 또 순회를 한다. 기준점의 값은 27이고 최소값..
2021. 2. 13.